컴퓨터에 있는 사진을 정리하다 보면 사진 용량이 커서 저장 공간을 많이 차지하거나 업로드할 때 에러가 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요. 별도의 프로그램 없이 간단하게 사진 용량 줄이는 법을 공유해 드릴 테니 필요하신 분들은 본문 내용을 참고해 주시길 바랍니다.
사진 용량 줄이는 법 - 그림판
컴퓨터로 아주 간단하게 사진 용량 줄이는 법으로는 그림판 이용하기가 있는데요. 아래 순서를 차례대로 따라 해 주시면 됩니다.
이미지 용량을 줄일 파일의 속성을 보시면 크기가 884KB인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 이미지 파일을 그림판을 이용하여 용량을 줄여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그림판 실행하셔서 해당 이미지 파일을 불러오기 해주세요.
이미지 파일을 불러오신 후 '크기 조정'을 클릭해 주세요.
'크기 조정'을 클릭하시면 위 그림과 같이 '크기 조정 및 기울이기' 메뉴 화면이 나오는데요. '가로 세로 비율 유지'를 체크해 주신 상태에서 '백분율' 또는 '픽셀'을 수정하여 크기 사진을 줄여 주세요.
저는 '백분율'을 기준으로 하여 이미지의 가로와 세로 크기를 50% 축소시켜봤습니다.
위 그림은 크기를 축소한 후의 모습입니다.
이제 그림판에서 '파일'을 클릭하신 후 원하시는 확장자로 그림 파일을 저장해 주시면 됩니다. 저의 샘플 이미지는 원래 PNG 그림 파일이었기 때문에 PNG 파일로 저장을 했습니다.
위 그림을 보시면 사진 용량이 884KB에서 64KB로 줄어든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사진 용량 줄이는 법 - 알씨
별도의 프로그램 없이 그림판으로 사진을 용량을 줄이려면 사진의 크기를 꼭 줄여야 하는 단점이 있는데요. 혹시 이미지 용량만 줄이거나 해상도를 낮춰서 이미지 용량을 줄이셔야 한다면 '알씨' 프로그램을 이용해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아래 링크를 통해 '알씨'를 다운로드하신 후 '이미지 크기 변경하기' 기능을 이용하시면 비율, 해상도, 용량을 기준으로 하여 쉽게 용량 크기를 쉽게 수정하실 수 있습니다.
알씨 다운로드 - 이미지 뷰어 / 동영상 만들기 / 사진편집 프로그램
알씨는 사진 편집부터 동영상 만들기, 사진 포맷 변환, 자동회전, 일괄편집, 사진 꾸미기 등 편리한 기능을 제공하는 이미지 뷰어 프로그램입니다.
www.altools.co.kr
지금까지 사진 용량 줄이는 법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만약에 사진의 비율을 조정하여 간단하게 이미지 용량을 줄이고 싶으시다면 그림판을 이용하시는 것을 추천드리며 해상도, 용량 등 수정을 통해 사진 용량을 줄이고 싶으시다면 '알씨' 프로그램을 추천드립니다. 두 방법 모두 위에서 설명드린 대로 매우 간단하니 필요하신 분들은 꼭 이용해 보시길 바랍니다.
층간소음 법적기준 정리
아파트, 연립주택, 다세대주택 등 공동주택에 거주하고 계신 분이라면 층간소음 때문에 한 번쯤 스트레스를 받아보셨을 텐데요. 소음으로 인한 이웃 간의 피해를 없애기 위해 층간소음 법적기
carrotcake03.tistory.com
패러다임 뜻
뉴스 기사를 읽다 보면 패러다임이라는 단어가 종종 보이는데요. 맥락을 통해 대략적인 의미는 이해할 수 있으나 정확히 패러다임 뜻이 무엇인지 헷갈려하시는 분이 꽤 계시더라고요. 패러다임
carrotcake03.tistory.com
엑셀 중복값 찾기 꿀팁 3가지
엑셀로 매출 관리, 쇼핑몰 재고 관리, 고객 관리, 급여 관리 등 많은 양의 데이터를 관리할 때 중복값을 찾아야 할 때가 종종 있는데요. 엑셀 중복값 찾기 꿀팁 3가지를 공유해 드릴 테니 엑셀 업
carrotcake03.tistory.com
폐기물스티커 인터넷발급 알아보기
최근에 이사를 가면서 침대를 새로 구입하고 기존에 사용하던 침대를 버리기 위해 대형 폐기물 스티커를 알아봤어요. 폐기물 스티커 파는 곳을 알아보다가 혹시 폐기물스티커 인터넷발급 방법
carrotcake03.tistory.com
'생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출입국사실증명서 인터넷발급 (0) | 2021.01.18 |
---|---|
컴퓨터 속도 빠르게 하는법 (0) | 2021.01.17 |
PDF파일이 열리지 않을때 (0) | 2021.01.12 |
층간소음 법적기준 정리 (0) | 2021.01.12 |
엑셀 중복값 찾기 꿀팁 3가지 (0) | 2021.01.11 |